건축이야기

진공배수공법

선 원 2012. 2. 2. 16:16



 


 

 

 


 

 
1.
2.
3.
4.
5.
6.
7.
계획된 슬럼프치를 얻을 수 있다.
동절기 공사가 가능하며 동해방지에 효과가 있다.(일정부분)
압축강도와 휨강도가 약 30~50% 증가한다.
건조수축이 적으므로 Joint 수를 줄일 수 있다.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 크다.
콘크리트가 치밀하여 방수성이 좋다.
Laitance 제거효과가 있으므로 마감재와 접착이 용이하다.


 

 
 

WEAR DIAGRAM
Vacuum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surface treatment considerably increases the wear resistance of the concrete surface.
Test made by : Swedish Institute of Materials testing.


 

 

 
COMPRESSIVE STRENGTH - 28 DAY CURVES
Concrete mix : Cement = 41/2Bags/C. Y.
Test made by : U. S. Bureau of Reclamation

 

 
STRENGTH GAIN IN THE TOP AND BOTTOM PARTS OF A TEST SLAB.
Test made by : Hannover Technical University, Federal Republic of Germany


 

구 분
표 면

바 닥

비 고
NORMAL
3.6mm
2.4mm
스판길이 6m 일때
VACUUM
1.8mm
2.4mm

 
 
NORMAL
VACUUM


 

구 분

진공배수공법

재래식공법
거푸집
탈영
 동형의 거푸집을 반복 사용하는 고층건물
 에서는 진공처리한콘크리트가 조기강도를
 얻으므로 거푸집 떼기를 빨리 할 수 있다.
 양생 기준을 준수해야 하므로 거푸집
 탈형 이 늦어지고 공기 단축면에서도
 비효율적이다.
접착력
증대
 콘크리트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Laitance 및
 먼지등 침전물을 제거하므로 케미칼이나
 수지 시공시 접착력이 우수하다.
 Laitance의 문제로 타마감재 사용할 때  Debonding 현상 초래. 시멘트 결합력이
 저하되므로 마모현상과 노화 현상이
 촉진된다.
동절기
공사
 진공배수로 인한 공기의 분포도를 증대시
 킴과 동시에 표면수를 제거함으로써 초겨
 울이나 가벼운 우천시 시공이 가능한다.
 골재분리 현상에 의한 비중이 낮은 물의  분포도가 표면에 과중되어 동절기 공사가  불가능하다.
수축
 표면 및 상층부의 수분제거로 양생과정에
 서의 수축으로 인한 비틀림과 Crack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6m×6mSpan에서 1.2mm 수축)
 물/시멘트비가 높으므로 수축진폭이
 크다. Crack과 비틀림이 발생하여 수명이  단축된다.
 (6m×6mSpan에서 3.6~4mm 수축)
표면강도
 진공배수 과정에서 표면의 Laitance 및
 기타 잉여수분을 제거함으로써 표면강도가
 2배까지 증가되고 내마모성이 증가한다.
 콘크리트 타설시 골재 분리현상으로
 인해 Laitance가 표면에 생기므로
 표면강도 저하로 분진 발생
압축강도
 28일 압축강도는 30~40% 증가
 (260~270 ㎏/㎠)
 28일 압축강도는 210~220㎏/㎠)
내구성
 밀실한 콘크리트를 시공하게 되므로
 내구성 증가. 방수효과
 현장 작업성을 고려해 가수한 잉여수로
 당초 계획된 강도보다 저하됨


 

 
1.

2.
3.
4.
콘크리트 타설과 진동다짐이 끝나면 곧바로 SuctionMat(흡입매트)를 길이 20cm 정도씩 겹치게 콘크리트 위에 펼쳐놓고 그 위에 Top Cover 를 덮는다.
Top Cover 를 완전 밀폐한 후 진공펌프의 호스와 Top Cover 의 호스를 연결시킨다.
진공펌프의 작동버튼을 누르고 압력을 서서히 상승시키며, 소요시간은 슬라브 두께 1cm 당 1~2분 정도이다.
진공배수 펌프1대가 처리할 수 있는 면적은 1회에 약 70㎡이다.





석션(흡입)매트 작업
톱카바(top-cover) 작업
펌프에 의한 배수
 






DOUBLE FLOATING
SKIM FLOATING & POWER TROWELLING
진공배수 이후 바닥상태


 

 

 

SKIM FLOATING